[시스템] 철학이 있는 리눅스 설치 -1 장 (리눅스 설치편)
## 철학이 있는 리눅스 설치 ##
1. OS 설치
** 설치 전 고려 사항
– 파티션 정책
자동파티션 설치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boot , / , swap 3개의 파티션으로 자동
활당되어진다. 하지만 정식 서비스를 위해서는 가지고 있는 하드디스크를 계산하여
성능 및 보안등을 고려하여 현 서비스에 가장 적절한 정책을 세워야 한다.
리눅스의 대표 파티션들은 모두 보안적인 측면이나 성능적인 측면에서 의미를 부여
하고 있다. 리눅스의 대표적인 파티션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boot
/
/etc
/home
/usr
/usr/local
/tmp
/var
swap
각 대표적인 모든 파티션을 다 나누어 설치를 하게 되면 가장 안정적일수 있지만
제한된 하드디스크로 모든 파티션을 나누게 되면 각 파티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 도중 특정 파티션에 용량이 초과할
경우 추가 하드 디스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많은 파티션을 나누어 놓게 되면 성능면에서는 Disk i/o 를 분산 시
킬수 있어 바람직 할수 있지만 관리 측면을 고려 해 본다면 필요에 의한 적절한
파티션 분배가 이루어 져야 할것이다.
각 파티션별로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boot :
/boot 파티션은 리눅스 부팅에 관련된 파일이나 이미지들이 모여 있는 파티션
이다. 만일 /boot 파티션을 나누어 놓은 경우는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안정성이다. 실제 /boot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그냥 / 에 포함 시킬 경우
시스템이 과도한 사용이나 해킹등의 이유로 / 파티션이 망가질 경우 실제 / 포함
된 /boot 디렉토리의 booting image 들 역시 깨어질 위험성이 크다. /boot 가 나
누어져 있을 경우 / 가 망가지더라도 새로운 / 파티션을 만들고 /boot 에 있는
부팅 이미지를 가지고 어느 정도 까지는 복구가 가능하다.
둘째는 기능성(?)이라 볼수 있다. 실제 /boot 에 들어 있는 kernal image 가 즉
리눅스 OS 라 볼수도 있다. 만일 당신이 개발자나 리눅스 전문 엔지니어라서 여
러개의 배포판을 설치 할 경우 각 배포판 마다 /, swap 등의 파티션을 별도로
나누어서 설치해야 하는 어리석음을 갖지 말길 바란다. 실제 배포버전별로
/boot 파티션을 나누어 준다고 하면 각각의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 하고도
실제 /etc /usr/local 등에 있는 설정이나 패키지를 통합해서 관리 할수가 있다.
셋째는 리눅스 OS의 부트로더의 기능적인 제한때문에 /boot 를 나누는 경우가
많다. 리눅스의 대표적인 부트로더로 Lilo 가 있는데 이는 실제 1024 실린더
밖에 설치 될 경우 치명적인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대부분이 하드디스크의
MBR 영역에 설치를 하게 되는데 만일 MBR 에 다른 부트 로더를 설치하고 Lilo
는 리눅스 파티션의 첫번째 파티션에 설치를 한다고 할때 /boot 파티션을 첫
번째 파티션으로 만들어 이곳에 Lilo를 설치 할수 있다.
/ :
루트 파티션은 실제 리눅스 파티션의 최 상위 파티션으로 실제 / 파티션과 Swap
파티션만으로도 리눅스를 설치 하여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설치
를 하게 되면 앞에서 언급하였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적절한 상황을
초래하기 쉽다. 일단 커널 이미지에서 실제 / 파티션을 찾아서 / 파티션을 최상
위로 해서 하위의 파티션들을 찾기 때문에 / 파티션이 없으면 리눅스를 부팅 시
킬수 없게 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파티션을 나눌 경우 실
제 별도의 파티션을 나누지 않는 상위 디렉토리들이 모두 이 / 파티션안에 포함
되게 될것이다.
/etc :
/etc 는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설정 파일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이다. 만일 /etc
를 / 파티션에 포함한 경우 변수에 의해 / 파티션이 깨어진 경우 별도의 백업이
없으면 관리자로써 상당히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딘다.
즉 아무리 데이터를 백업을 하고 있다 하더라도 설정 파일이 없으면 서비스를
구동 할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etc 를 별도의 파티션으로 나누는 것도
고려해야 할것이다. 하지만 /etc 의 용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백업만 적절히
한다고 하면 굳이 나눌 필요는 없다. 파티션이 너무 많이 나누어 지면 관리측면
에서 부적절 할수도 있다.
/usr :
/usr 는 실제 레드헷 리눅스의 RPM 패키지가 설치되는 파티션이다. 이 파티션을
나누는 이유는 크게 성능과 패키지 관리 측면에서 볼수 있다.
일단 레드헷 리눅스의 모든 프로그램이 이곳에 설치가 된다고 볼수 있다.
즉 서비스 구동 시에 프로그램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파티션인 만큼 다른
Disk i/o 과 많은 다른 파티션과 동일 파티션으로 구성하면 성능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관리 측면으로 보면 최근 배포판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고자 할때 /usr 파티션
이 나누어져 있을 경우 설치 시 /usr 파티션만 새로 포맷하고 새 패키지를 설치
하면 실제 redhat 7.3 에서 redhat 9 로 업그레이드를 한다고 해서 서버의 모든
자료를 백업하고 새로 OS 설치 후 복구하는 수고를 들수 있다.
/usr/local :
/usr/local 는 응용프로그램을 Source 로 설치 할 경우 파일이 위치 하는 디렉토리
이다. 기본적으로 배포판의 패키지는 기본적이 서버 구성에 해당하는 패키지만 설
치 하고 나머지는 모두 Source 설치 하는걸 권장 한다. 리눅스 배포판의 패키지를
무분별하게 설치 할 경우에는 보안/ 관리 측면에서 상당히 부적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 설치 후 필요한 프로그램을 Source 로 설치 하는 것을 권장하는 바
이다. 즉 Source 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파티션이다. /usr 과 같은 의미
를 가진다. 성능과 패키지 관리 측면이다. 만일 / , /usr 등의 문제로 인해 다시
설치 할 경우 /usr/local 파티션이 / , /usr 에 속해 있으면 재 설치 할때 마다..
일일이 Source 설치도 다시 해야 한다. 하지만 /usr/local 이 별도로 나누어져 있
으면 OS를 다시 깔아도 실제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시 깔 필요는 없게 된다.
/var :
/var 는 시스템 log 파일이 저장 되는 곳이다. /var 파티션을 분리하는 이유는
실제 log 를 기록 하면 그만큼 많은 Disk i/o 병목이 시스템에 발생하게 된다.
실제 서비스가 이루어 지는 / 혹은 /usr 와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home
등과 같은 파티션이 존재 하게 되면 /var 에 일어나는 병목으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게 될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var 파티션을 별도로 활당하던
지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원격디스크를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log 서버와 같이..)
/var 는 로그 및 메일 큐등이 쌓이는 곳이기 때문에 해커들이 고의적으로 시스템
에 나쁜 코드를 심어 놓거나 mail 서버의 spam를 무수히 보냄으로 해서 /var의
디스크 용량이 무지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var의 파티션이 나누어 있지
않는 경우 실제 / 파티션의 disk 용량이 가득차게 되고, 이로 인해 / 파티션의
중요한 파일들이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런 일들을 방지 하기 위해서도 /var 파티션
을 나누는 것을 권장한다.
이밖에 해커들이 / 파티션을 공격하여 시스템을 깨어버린다 하더라도 실제 /var
파티션이 나누어져 있으면 이런 해커의 작업등이 시스템 로그에 남게 됨으로
시스템은 망가졌지만 이후 /var 의 로그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무슨 문제가 있었
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tmp :
/tmp 는 실제 시스템 서비스가 가동될때 임시 파일이나 세션 파일들이 생기는 곳
이다. 보통 nobody 권한의 파일들이 생김으로 해서 보안이 약한 곳이라 볼수 있
는데 해커들이 주고 이 /tmp 를 통해 원격지에서 시스템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해서 해커의 공격을 받더라도 /tmp 디렉토리만 영향을 받게 하기 위해
파티션을 분리하는것을 권장한다.
swap :
은 물리적인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하드디스크를 메모리 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용되는 파티션이다.
보통 시스템의 물리적인 메모리의 1.5배에서 2배로 잡는것이 정석이다.
시스템의 주요 사용 용도 중에 매우 큰 용량의 파일을 다루는 작업일 경우
보통 swap 을 크게 잡아야 한다. 대표적으로 Oracle 의 경우 보통 DB file 하나
가 작게는 500M 에서 크게는 2Gbyte 정도 하는 실제 DB 엔진에서 메모리에 이
큰 파일을 올려 놓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실제 물리적 메모리가 1.5 G 일 경우
swap 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을 할수 없게 되거나 페이징이 일어나 성능이 급속
도록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서비스에 이용되는 메모리 수치를
예상하여 swap 을 잡으면 된다. swap 은 상황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추가
할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는 권장방법대로 1.5배에서 2배 정도로 잡으면 된다.
– SCSI Adapter Driver Patch
최신 Ultra320 SCSI Controllor 의 경우 기본 레드헷 지원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i/o error 를 발생 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Adatec 의 AIC-29320
제품의 경우 그러함. 설치 시에 그냥 설치 하면 SCSI 장치 인식 중에 멈처 버리는
증세가 발생함.
boot : linux apic
와 같은 방식으로 부팅하면 장치는 인식하지만 레드헷 기본 커널에 있는 드라이버
로 서비스 가동 시에 조금 과도한 Disk Access 작업을 할 경우 kernel panic 상태
가 된다.
이에 설치 전에 각 장치 공급사의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 받아서
설치 시에 최신 드라이버를 인식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http://www.adaptec.com/ 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 받을 수 있음
먼저 각 하드웨어 공급사의 최신 드라이브를 다운 받은 후 설치 시 적용할 수
있는 이미지 디스켓을 만든다.
==========================================================================
# fdformat /dev/fd0
# dd if=aic79xx-2.0.2-i686-rh90.img of=/dev/fd0 bs=1024
==========================================================================
그런후 설치 CD 로 부팅 후 boot prompt 가 뜨면 < linux dd > 란 command 로
설치 시 추가 드라이브를 적용 시킨다.
==========================================================================
boot : linux dd
==========================================================================
그럼 설치 CD 의 커널 이미지로 부팅을 진행하면서 하드디스크 혹은 기타 장치를
인식하기 전에 추가 드라이브 디스켓을 삽입하라는 메세지가 뜬다. 이때 위에서
만든 드라이브 디스켓을 삽입한다.
그러면 설치 CD 에 있는 장치 드라이브를 이용하는것이 아니라 다운 받은 최신
드라이브로 장치를 인식하여 설치를 하게 된다.
** 레드헷 리눅스 서버 설치
서버용으로 설치를 할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서버가 서비스할 서비스
내역을 충분히 이해 한 후 반드시 필요한 패키지 만을 설치 하는 것을 권장한다.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를 설치 할 경우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의 보안적 문제가 생
겼을때 관리자는 이를 신경쓰지 않게 되고, 이 패키지를 통한 해킹의 위험을 가
지게 된다.
기본적은 설치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 하고 파티션과 패키지 구성에 대한
정책만을 설명하겠다. 이는 저의 개인적인 견해를 설명한것이니 이가 완변한 설치
정책이라 말하지는 않겠다.
– 파티션 정책
실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서버를 설치 할 경우에는 전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나눈다.
/boot
/
/usr
/usr/local
/var
/tmp
/home
swap
/boot : 100M ~ 200M
/ : 1G
/usr : 3G
/usr/local : 2G
/var : 2G ~ 3G
/tmp : 500M
/home : 필요한 만큼
swap : 물리적인 메모리의 2배
여기서 /boot /tmp 는 그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적절한 백업을 할 경우에는 관리상의
이유로 / 에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usr/local 역시 관리상의 이유로 /usr 에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대신 이와 같이 포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포함 시키는 파티션의 크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var 파티션의 경우 로그의 중요성이 낮거나 메일 서비스등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상의 이유로 하여 / 에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메일 서버등을 중점으로
하는 서비스에서는 반드시 /var 의 파티션을 나누어 주고 용량도 충분히 주길 바란다.
/home /usr/local 의 파티션을 별도로 나눌 경우 성능을 고려 한다면 설치 시 파티션
을 지정 하지 말고 기본 OS 설치 후 fdisk 를 통해 수동으로 파티션을 나눈 후 레드헷
기본 파일 시스템인 ext3 대신 reiserfs 혹은 x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
한다. ext3 에 비해 reiserfs 나 xfs 파일 시스템이안정성에서 우수함을 인증 받은
상태이고 성능에서도 30% 정도의 성능 향상을 가져 올수 있다.
( hdperm 으로 디스크 성능을 체크 해 보면 ext3 의 경우 초당 40M 정도의 read buffer
의 성능을 나타내지만 reiserfs 의 경우 초당 55M 의 성능을 발휘한다. )
/home 이나 /usr/local 파티션의 성격 상 디스크 사용량이 많거나 실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설치 되는 곳인만큼 시스템의 Disk I/O 성능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이기에
보다 안정스럽고 좋은 성능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게 좋다.
swap 역시 oracle 과 같은 큰 파일을 다루는 서버라고 하면 1G 용량으로 여러개의
swap 파티션을 잡아 두는 것을 권장한다.
( 그냥 큰 용량으로 swap을 잡지 않고 적절한 용량으로 나누어 여러개를 잡는 이유는
swap 파티션의 크기 역시 일반 IA32 시스템에서는 2G 제한이 있고 2G의 스왑파티션
보다는 1G의 스왑파티션 2개가 I/O 분산으로 인해 성능이 좋기 때문이다.
OS 의 설치는 초보 엔지니어나 경력 엔지니어나 다 기본으로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시스템 엔지니어의 시작이 OS 설치 라고 하면 마지막 역시 OS 설치라고 말
할수 있는 만큼 자신만의 설치 방법을 세워 두길 바란다.
– 패키지 정책
실제 OS 구동에 필요한 기본 프로그램 ( 부팅관련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은 배포판에
있는 패키지를 선택하지만 서비스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대도록이면 Source 로 직접
설치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는 패키지 관리 및 보안성격상에도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실제 배포판은 대표적인 아키텍처에 해당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build 하여
패키지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유사한 아키텍처를 가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데는 지장
이 없지만 그래도 자기 시스템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Source
로 해당 시스템에서 직접 설치 하는 것이 좋다.
( 이와 같은 패키지 관리를 한다고 하면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sr/local 파티션을
별도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시스템 문제 발생하여 재 설치 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Source rebuiling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
레드헷 리눅스에서의 패키지 선택은 기본적으로 패키지 선택 단계에서
/ 편집기 / DNS 서버 / 네트워크 서버 / 개발 도구 / 커널 개발 /시스템 도구
정도를 기본 설치 하고 기타 서비스 관련 프로그램 및 기타 관리 도구는 필요한 프로
그램만을 수동으로 설치 하면 된다.
– 설치 완료 후 기본 확인 작업
기본적으로 설치가 완료 된 후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는지와 부팅 시 에러 내용이 있는
지, 파티션이 정책대로 적용이 되었는지 등을 확인 합니다.
# dmesg -> 부팅 메세지 확인
# df -h -> 파티션별 용량 확인
부팅 시 bootloader 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SCSI 하드와 IDE 하드를 같이 장착하고 설치 한 경우 LILO 혹은 GRUB 등의 bootloader
에서 정상적으로 커널 이미지를 Loading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기본적인 해결 방법을 설명하겠다.
// LILO Bootloader 로 부팅 시 문제 발생 했을때 해결 방법
=====================================================================================
리눅스설치CD로 부팅해서 rescue 모드로 들어갔다.
df 쳐 보니 /dev/hda2 가 /mnt/sysimage 에 mount 되어 있다.
하드디스크에 있는 lilo.conf 는 /mnt/sysimage/etc/lilo.conf 에 잘 있다.
이제 이 파일을 잘 고쳐서 lilo 를 실행하면 된다. rescue 모드에서도 vi는 실행된다.
# vi /mnt/sysimage/etc/lilo.conf
/mnt/sysimage/etc/lilo.conf 를 수정 후
/etc 에 복사한다
# cp /mnt/sysimage/etc/lilo.conf /etc
여기까지만 하고 lilo 를 실행시키면 에러가 난다.
/etc/lilo.conf 에서 /boot 라고 되어있는 곳을 /mnt/sysimage/boot 로 바꾸고 저장한다.
이제 lilo 를 실행시킨다.
# /mnt/sysimage/sbin/lilo
/boot/chain.b 를 못 찾는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 cp /mnt/sysimage/boot/chain.b /boot/ 한 다음에
#/mnt/sysimage/sbin/lilo
혹은
# chroot /mnt/sysimage
# /sbin/lilo
하면 된다.
=====================================================================================
// GRUB Bootloader 로 부팅 시 문제 발생 했을때 해결 방법
=====================================================================================
긴급시 grub 으로 부팅을 시키는 과정입니다.
grub >
먼저 root 지정을 해 줍니다.
grub > root (hd0,0)
-> 실제 /boot 파티션의 위치를 지정한다. 만일 별도의 /boot 파티션
이 없는 경우에는 / 위치를 지정합니다.
grub > kernel /vmlinuz-2.4.20-8smp ro root=/dev/sda2
-> 실제 / 파티션 위치를 적어 줍니다.
grub > initrd /initrd-2.4.20-8smp.img
-> SCSI 하드인 경우 initrd 이미지가 없으면 하드 인식을 못함.
grub > boot
하면 부팅 됩니다.
그런 후 /etc/grub.conf 를 수정하거나 쉽게 LILO 를 수정하여 다시 적용하고 실행
하면 된다.
참고로 LILO 로 SCSI 와 IDE 를 병행 할때 sda 가 첫번째 디스크가 아니라는 에러가
발생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LILO라는 부트로더는 실제 BIOS 의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참조 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디스크에 관련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lilo.conf 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 주면 된다.
disk=/dev/sda
bios=0x80
disk=/dev/hda
bios=0x81
위의 설정 내용은 SCSI 가 첫번째 하드라는 것을 LILO 에서 인식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해야 부팅시 정상적으로 LILO 가 띄워 질 것이다.
** 설치 완료 후 주요 서비스 파티션 구성 및 파일 시스템 설정
앞의 파티션 정책에서 설명 했듯이 주요 서비스 파티션 중 데이터 관련 파티션인
/home 과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파티션인 /usr/local 을 구성해야 하고 이 두개의 파티션
을 안정성 및 효율이 높은 reiserfs 혹은 xfs 로 파일 시스템을 설정 하는 하도록 한다.
# fdisk /dev/sda
-> /usr/local : 3G
-> /home : 나머지 전부 활당
# mkfs.reiserfs /dev/sda8 -> /dev/sda? 에는 해당 파티션의 디바이스명을 적어준다.
# mkfs.reiserfs /dev/sda9
# vi /etc/fstab
=================================================================================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none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none /proc proc defaults 0 0
none /dev/shm tmpfs defaults 0 0
LABEL=/tmp /tmp ext3 defaults 1 2
LABEL=/usr /usr ext3 defaults 1 2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dev/sda6 swap swap defaults 0 0
/dev/cdrom /mnt/cdrom udf,iso9660 noauto,owner,kudzu,ro 0 0
/dev/fd0 /mnt/floppy auto noauto,owner,kudzu 0 0
# 아래를 추가해줌
/dev/sda8 /usr/local reiserfs defaults 1 2
/dev/sda9 /home reiserfs defaults 1 2
=================================================================================
# tar czvf local.tgz /usr/local -> /usr/local 의 디렉토리 구조를 백업해 둠
# cp local.tgz /
# mount -a
# cd /
# tar xzvf local.tgz
실제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 구성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확인 한다.
# df -h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2 981M 121M 811M 13% /
/dev/sda1 198M 15M 173M 8% /boot
none 1009M 0 1009M 0% /dev/shm
/dev/sda7 487M 8.1M 454M 2% /tmp
/dev/sda5 2.9G 898M 1.9G 33% /usr
/dev/sda3 2.9G 58M 2.7G 3% /var
/dev/sda8 2.9G 33M 2.8G 2% /usr/local
/dev/sda9 22G 33M 22G 1% /home
=================================================================================
** 시스템 구성 확인
마지막으로 현재 시스템의 H/W, S/W 구성 정보를 확인 및 기록 해 두도록 합니다.
이는 현재 시스템 장치가 재대로 인식을 하는지 확인과 동시에 이후 유지 관리를 위한
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 하는 방
법으로 이후 관리 시에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 booting message 확인
# dmesg
– CPU 정보
# cat /proc/cpuinfo
– 메모리 정보
# cat /proc/meminfo
– SCSI 정보 HDD 정보
# cat /proc/scsi/scsi
– SCSI controllor 정보
# cat /proc/scsi/aic7xxx/0
– IDE 하드 정보
# cat /proc/ide/hda/model
# cat /proc/ide/hda/setting
– 네트워크 정보
# ifconfig
# route -n
이로써 대략적인 설치 과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설치 이후 설치 된 패키지의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 및 기타 하드웨어의
최신 드라이브 업데이트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