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kernel-2.2.17 옵션 설명 [3]
Telephony Support —> 무선인터넷 관련 옵션
SCSI support —>
<*> SCSI support
스카시 하드 디스크나 스카시 테이프 드라이브, 스카시 시디롬, 다른
스카시 장비를 갖고 있다면 Y라고 하세요. 그리고 꼭 그 스카시 호스트
어댑터(여러분의 컴퓨터 안에서 스카시 프로토콜을 쓰는 카드로서
스카시 콘트롤러라고도 합니다.)의 이름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다음에 나올 여러 스카시 관련 옵션들에 대답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병렬 포트용 100Mb 아이오메가 집 드라이브를 갖고 있다면 Y라고
하세요.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anonymous
유저)에서 SCSI-HOWTO를 꼭 읽어보세요. SCSI-Programming-HOWTO에는
리부팅 안 하고 스카시 장비를 붙였다 뗐다할 수 있는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이 드라이버는 모듈(실행중인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할 수도 있습니다. 모듈 이름은 scsi_mod.o가
될겁니다. 모듈로 컴파일 하려면 M이라고 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랑 Documentation/scsi.txt를 읽어보세요.
만약에 여러분의 루트 파일시스템(루트 디렉토리(/)를 갖고 있는
파일시스템)이 스카시 장비에 있다면 모듈로 컴파일하지 마세요.
<*> SCSI disk support
스카시 하드 디스크가 있는경우 Y
< > SCSI tape support
만일 리눅스환경하에서 SCSI테잎드라이브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Y”
< > SCSI CD-ROM support
리눅스에서 SCSI CDROM을 사용하시려면 Y라고 답해주십시오.
< > SCSI generic support
SCSI 스캐너, 신디사이저, CD-라이터를 사용하고자 한다거나 하드
디스크 이외에 SCSI 장치를 사용한다면 이 질문에 Y
[*] Probe all LUNs on each SCSI device
CD Jukebox와 같이 하나 이상의 LUN(논리장치번호)을 지원하는
SCSI장치가 장치되어 있는데도 한개의 LUN만이 인식된다면 여기에서
‘Y’를 선택하여 강제로 SCSI 드라이버가 다수개의 LUN을 검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수개의 LUN을 지원하는 SCSI장치는 논리적으로
다수개의 SCSI장치처럼 동작합니다. 대다수의 SCSI장치는 하나의
LUN만을 지원하므로 대부분 여기에서 ‘N’을 선택해도 무방하며, 사실
‘N’을 선택하는 편이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N’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 Verbose SCSI error reporting (kernel size +=12K)
이 질문에 Y를 선택하면 SCSI 하드웨어에 관한 에러 메시지가 자세히
나와서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대신 커널 크기는 약 12K 증가합니다.
확실하지 않다면 Y를 선택하십시오.
[ ] SCSI logging facility
이것은 SCSI에 관련된 debug에 사용할수 있는 logging 도구를 활성화
시킨다. 이 옵션에 Y라고 체크하면 기본적으로 logging리포트를
제공하진 않지만, 아래의 “/proc filesystem support”와 “Sysctl
support”에 대해 Y라고 체크하고, 부트시 /proc파일시스텡이 마운트된
이후에 echo “scsi log token [level]” > /proc/scsi/scsi 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logging이 가능해진다. 이 token은 여러가지가
사용이 가능하며(이 토큰들은 drivers/scsi/scsi.c소스 파일에서 찻아
볼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따라 다르게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level은 verbosity의 레벨을 결정한다. 만일
N이라고 체크하면 몇몇의 SCSI에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추적이 어려워질
수 있다. 물론 이 옵션에 대해 Y라고 체크하면 커널의 크기가 다소
커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logging을 끈 상태에 비해 느낄만한 어떠한
퍼포먼스의 저하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I2O device support —>
< > I2O support (NEW)
지능형 입출력 (Intelligent Input/Output :I2O) 아키텍쳐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두 부분으로 나눕니다: OSM 이라는 운영체계 전용 모듈과
HDM 이라는 하드웨어 전용 모듈. OSM은 모든 HDM과 통신할 수 있고,
이상적으로 HDM은 OS 비의존적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같은 HDM
드라이버를 해당하는 OSM이 있다면 다른 운영체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분은 I2O 인터페이스 어댑터 카드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카드는 전용 I/O 프로세서 (IOP)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CPU가 I/O를 처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Y를 대답하시면 인터페이스 어댑터 카드와
OSM을 선택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질문이 주어집니다. 이 드라이버는
또한 모듈로도 이용 가능합니다. 만일 여러분이 모듈로 컴파일 하기
원한다면 M을 대답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으십시오.
여러분은 i2o_core.o와 i2o_config.o라는 모듈들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확실치 않으면 N를 대답하십시오.
Network device support —>
[*] Network device support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리눅스 박스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필요가
전혀 없거나, 모뎀을 사용해 전화선을 통해 UUCP(UUCP란 유닉스
호스트간에 전화선을 통해 mail 이나 news를 이송키기기 위한
프로트콜(protocol)입니다. ftp://metalab.edu/pub/
Linux/docs/HOWTO의 익명 FTP에서 UUCP-HOWTO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나 다이얼- 업(dial-up) 쉘 계정(shell account), BBS,
혹은 term(term은 여러분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정상적인
다이얼-업 쉘 계정(dial-up shell account)을 가지고 있다면, 인터넷에
자유로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http://
www.bart.nl/~patrickr/term-howto/Term-HOWTO.html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WWW이용하려면 lynx, netscape와 같은 프로그램이 깔린,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에 접속하는
것이 전부라면 여기서 Y라고 하세요. 만약 여러분의 컴퓨터에
리눅스에서 사용코자 하는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있거나(카드의
이름에 대해 대답을 해야하므로 반드시 알아두세요. 그리고 (특히
리눅스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할 생각이라면)
ftp://metalab.unc.
edu/pub/Linux/docs/HOWTO/mini의 익명FTP에서
구할 수 있는 Ethernet-HOWTO를 읽 어보세요.)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은 전화선이나 널 모뎀 케이블 (null moderm
cables)을 통해 internet traffic를 보내기 위한 protocol입니다.),
CSLIP(Compressed SLIP), PLIP(Parallel Line Internet Protocol은
두개의 컴퓨터 의 패러럴 포트를 서로 연결해서 작은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AX.25/KISS(amateur radio links를 통해
internet traffic을 보내는 데 사용하는 protocol)를 사용하신다면,
Y라고 하세요. NET-3-HOWTO를 반드시 읽으세요. 나중에는
ftp://metalab.unc.edu/pub/Linux/docs /LDP에서 구할 수 있는 Olaf
Kirch의 매우 잘 되었있고 free인 책 “Network Administrator`s
Guide”를 읽어야만 할 겁니다. 잘 모르시겠다면 Y라고 하세요.
ARCnet devices —>
이 종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으면 Y
<M> Dummy net driver support
이것은 근본적으로 IP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는 쓰레기통 같은 (즉,
여러분이 이 디바이스로 보내는 트래픽을 망각의 강 너머로 넌져버리는)
디바이스입니다. 이것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여러분의 현재
비활성화되어있는 SLIP 어드레스를 다른 프로그램들에게 마치 진짜
어드레스인 것 처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SLIP이나
PPP를 사용하신다면 여기서 Y를 대답하길 원하실 것입니다. FTP (user:
anonymous) 를 통하여 ftp://metalab.unc.edu/pub/Linux/docs/LDP에서
구할 수 있는 네트웍 관리자 가이드 (the Network Administrator’s
Guide)를 읽으십시오. 이것은 때때로 매우 편리할 수 있으므로 디폴트는
Y입니다. 또한 이 옵션은 여러분의 커널 크기를 증가시키지도 않습니다.
괜찮은 선택일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옵션을 모듈로
컴파일하기 원한다면 M을 대답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으십시오. 모듈명은 dummy.o일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하나 이상의
더미 드라이브를 동시에 원하신다면 이 드라이버를 모듈로 컴파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경우 ‘dummy’라는 이름 대신에 ‘dummy0,
‘dummy1’등과 같은 이름이 될 것입니다.
< > EQL (serial line load balancing) support
여러분의 컴퓨터가 외부의 다른 리눅스 박스에 두대의 모뎀(및
전화선)을 이용해서 연결되어 있고, PPP나 SLIP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가정합니다. (예: 56K 모뎀 2개 , 전화선
2회선) EQL 드라이버를 이용하면 두 회선이 하나로 합쳐진 것처럼
두배의 속도로 (56+56=112)외부의 리눅스 박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EQL 드라이버를 사용하려면 서버측도 동일한 리눅스 환경에서 EQL
드라이버 또는 Livingston Portmaster 2e 장치를 지원해야 합니다.
“Y”라고 선택한다면, Documentation/networking/el.txt와 NET-3
HOWTO의 섹션 6.2를 꼭 읽어보십시오. 그리고, 커널 모듈로 사용하려면
“M”을 선택합니다.
Ethernet (10 or 100Mbit) —> 이부분에서 여러분의 랜카드 종류를 선택함.
[*] Ethernet (10 or 100Mbit)
이더넷(혹은 IEEE 802.3이나 ISO 8802-2)은 대학이나 회사에 널리
사용되는 LAN 종류입니다. 일반적인 이더넷 종류로는 10BASE-2
혹은 Thinnet(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며 체인 형태로 컴퓨터들을 10Mbps로
연결한다), 10BASE-F(허브를 사용하여 광섬유 케이블로 10Mbps),
100BASE-TX(허브 사용, 두 개의 트위스트 케이블을 통해 100Mbps),
100BASE-R4(4개의 표준 음성 트위스트 케이블 상에서 100Mbps의 속도를
내며,허브 사용), 100BASE-FX(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100Mbps 속도)
[100BASE 종류들은 Fast Ethernet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기가비트
이더넷(광섬유나 구리선을 통해 1Gbps의 속도를 냄) 등이 있습니다.
자신의 리눅스 박스가 이더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장착되어 있다면, 이 질문에 Y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서
볼 수 있는 Ethernet-HOWTO를 읽어보기 바랍니다. 또한 자신이 갖고
있는 NIC의 드라이버에 대해 Y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커널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N을 선택하더라도 설정
스크립트가 이더넷 네트워크 카드에 대한 질문들을 건너뛰기만 합니다.
불확실하다면 N을 선택하십시오.
[*] EISA, VLB, PCI and on board controllers
이것은 버스로 직접 부착하는 다른 종류의 네트웍 카드들 입니다.
이런 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면 Y를 선택하십시오. 자세한것은
ftp(user:anonymous)를 통해서 Ethernet-HOWTO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 이 항목에
체크하는것은 커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N을
선택하면 설정 스크립트가 이 종류의 네트웍 카드의 항목들을 모두
지나쳐 버립니다. Y를 선택하면 지정된 카드에 대해서 선택을 할수
있습니다. 확실히 알지 못한다면 Y를 선택하십시오.
<*> EtherExpressPro/100 support
Intel EtherExpress PRO/100PCI 네트워크(Ethernet) 카드를 갖고 있다면
Y를 선택하고,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의
Ethernet-HOWTO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 드라이버는
모듈(필요할 때마다 커널에 삽입 혹은 삭제가 가능한 코드)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의 이름은 eepro100.o 가 될것있니다. 모듈로
컴파일하고 싶다면 이 옵션에 M을 선택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와
Documentation/networking/net-modules.txt를 참조하십시오.
[ ] Zenith Z-Note support (EXPERIMENTAL)
Zenith Z-Note노트북에 내장네트워크(이더넷)카드가 내장되어 있다면
이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IBM씽크패드300은 Z-Note와 이
드라이버역시 호환되는 노트북입니다. Ehternet_HOWTO를 읽으시거나
ftp경로(user:anonymous)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 ] FDDI driver support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는 고속 LAN 디자인이며 고속
이더넷을 대체합니다. FDDI는 구리선이나 광섬유로 연결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거나 FDDI 카드용의 드라이버가
필요하다면 이 옵션에 Y를 선택하십시오(그런 후 다음에 나오는
옵션에서 자신의 FDDI에 맞는 드라이버에 Y를 선택하십시오). 대개의
경우 N을 선택합니다.
[ ] HIPPI driver support (EXPERIMENTAL)
고성능 병렬 인터페이스 (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 :
HIPPI)는 초당 800 M비트 와 1600 M비트 듀얼-심플렉스(복-단신법)
스위칭 이나 점-대-점 방식의 네트웍입니다. HIPPI는
구리선(25미터)이나 광케이블(다중 모드의 경우 300미터, 단일-모드의
경우 10km) 를 이용합니다. HIPPI 네트웍은 클러스트에 사용되거나
슈퍼컴퓨터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만일 여러분이 HIPPI 네트웍에
연결되어있고 여러분의 컴퓨터에 리눅스에서 사요할 HIPPI 카드가
설치되어 있다면 여기서 Y를 대답하십시오. 여러분은 또한 여러분의
HIPPI 카드의 드라이버를 다음의 옵션에서 선택하여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N를 대답합니다.
< > PPP (point-to-point) support
PPP는 SLIP보다 새롭고,발전된 것이다. PPP는 SLIP와 같이 전화나
다른 SERIAL LINE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한다. 지금
이용하고 있는 통신회사가 PPP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물어보아라,
왜냐하면 통신회사가 PPP를 지원하지않으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절대적인것은 아니다. FREE소프트웨어인 “SLiRP”는 당신이
전화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UNIX컴퓨터에 SHELL계정을 가지고 있다면
PPP를 흉내(emulate)낼 수 있다.) – SLiRP얻는곳 :
(anonymous)ftp://metalab.unc.edu/pub/Linux/system/network/serial/
< > SLIP (serial line) support
만약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또는 LOCAL(지역) UNIX 컴퓨터에
연결하기위해 또는 당신의 Linux 컴퓨터를 다른사람이 전화로
연결(MODEM을 이용하여) 하기위한 SLIP/CSLIP 서버로 제공하기 위해
SLIP/CSLIP(Compressed SLIP)을 이용하길 원하면 “Y’를 선택하시오.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은 serial연결(전화선이나 null
modem등을 이용하는 것)을 이용하여 인터넷 traffic을 전송하기 위한
protocol이다. : 요즘은 SLIP과 같은 목적으로는 PPP protocol이 더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당신의 통신서비스 제공자가 SLIP을
지원해야 사용가능하나. 지금은 SLiRP라 불리는 SLIP emulator가
있다. : SLiRP( FTP를 통해 이용가능 (user: anonymous)
ftp://metalab.unc.edu/pub/Linux/system/network/serial/) SLiRP는
일반적인 dial up을 이용하여 SLIP을 사용가능하게 한다. 만약 SLiRP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아래의 CSLIP에 “Y”표시 하라. NET-3-HOWTO문서(
(user: anonymous)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서
이용가능)는 어떻게 SLIP을 configure하는지 설명한다. 중요: 만약
TERM을 이용하길 원하면 SLIP옵션은 필요없다. (term : 전화접속가능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UNIX 컴퓨터에 shell계정을 가지고 있을때
거의 완전한 인터넷연결을 지원할수 있는 프로그램) – term에 대한
사항은 http://www.bart.nl/~patrickr/term-howto/Term-HOWTO.html볼것
(www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와 lynx나
netscape같은 프로그램 필요) SLIP지원은 KERNEL을 4KB 확장할
것이다. 확실하지 않으면 “N”를 선택하시오 만약, SLIP을
MODULE(=원할때 사용중인 kernel에 code를 삽입,삭재 가능하다)로서
COMPILE하길 원하면 “M”을 선택하라. 그리고
Documentation/modules.txt과
Documentation/networking/net-modules.txt를 읽어보시오. (그 MODULE은
slip.o.라 불린다.)
[ ] Wireless LAN (non-hamradio)
무선랜과 아마추어 무선이 아닌 무선전파와 관계있는 모든 지원. 이
문제에 대한 답은 바로 커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다. N라고
하면 이 형성 스크립트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관한 모든 문제를 뛰어넘게
된다. 특별한 커널 지원이 요구되지 않는 scarab(?) 디바이스에서
몇몇 사용자 등급 드라이버들은 ftp://shadow.cabi.net/pub/Linux 에서
FTP(사용자:anonymous)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Token ring devices —>
[ ] Token Ring driver support
토큰링은 IBM사의 로컬 네트웍 통신 방법입니다, 로컬 네트웍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은 이더넷(Ethernet)입니다. 토큰링 네트웍을
사용하길 원한다면, 여러분은 특별한 토큰링 네트웍 카드가 필요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떤 토큰링 네트웍에 접속하였고, 여러분의 토큰링
네트웍 카드를 리눅스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이곳에 Y라고 하시고
여러분의 특정한 카드에 알맞는 드라이버를 아래에서 선택하시고,
Token-Ring mini-HOWTO를 읽어보십시요.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서
FTP(user:anonymous)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곳에 N이라고 하십시요.
< > Red Creek Hardware VPN (EXPERIMENTAL)
이 드라이버는 Virtual Private Network (VPN)을 제공하는
하드웨어용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그러한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다면
Y를 대답하십시오. 이 드라이버는 또한 rcpci.o라는 모듈로도
이용가능합니다. 만일 여러분이 모듈로 컴파일 하기 윈한다면 여기서
M을 선택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으십시오.
< > Traffic Shaper (EXPERIMENTAL)
traffic shaper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 나가는 데이타의 비율을
제한알수 있게하는 가상 네트워크 장치이다. 자세한 정보는
Documentation/networking/shaper.txt 를 참조하면 되고, 이런한
shaper장치에 대한 셋업과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shapecfg
프로그램이 필요하며,ftp://shadow.cabi.net/pub/Linux의 shaper
package를 통해서 얻을수 있다. 이 드라이버는 모듈로도 작동이
가능하며(원하면 구동중인 커널에 ?입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이 모듈은 shaper.o이며, 만일 모듈로서 compile을 하고싶으면 여기에
M 이라고 체크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참조하가 바라며,
확실치 않으면, N으로 체크하기 바란다.
Amateur Radio support —>
[ ] Amateur Radio support
리눅스를 아마츄어 라디오에 연결해서 통신하고자 하는경우에는 ‘y’를
입력하세요. http://www.tapr.org/tapr/html/pkthome.html 및
HAM-HOWTO, AX25-HOWTO문서를 통해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FTP(user:anonymous)
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 에서도 구할수
있습니다. 주의: 이 옵션은 커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질문은
아닙니다. 단, 이 옵션이 ‘N’로 되어있으면, 아마츄어 라디오(햄)을
이용한 통신 관련 지원사항을 무시하게 되는 옵션입니다.
IrDA (infrared) support —>
< > IrDA subsystem support
만약 IrDA(TM){무선 적외선포트}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원한다면 Y라고
대답하라. IrDA(TM)는 대부분의 랩탑과 PDA를 지원하고, 표준의 무선
적외선통신을 지원한다. IrDA(TM) 프로토콜을 리눅스에서
사용하기위해서는 irmanager와 irattach같은 유틸리티가 필요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Documentation/networking/irda.txt를 보라.
IR-HOWTO를 읽기 원한다면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서 구할 수 있다.
이것 역시 모둘로 사용할 수 있다. 모둘로 컴파일하길 원하다면, M을
선택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라. 모둘로 호출할수 있을
것이다.
ISDN subsystem —>
< > ISDN support
ISDN (“디지털 네트웍 통합 서비스”, 프랑스에선 RNIS라고 불리우는)은
디지털 전화 서비스의 특정한 타입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SLIP이나 PPP를 이용해)에 접속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모뎀을 이용한 전화 접속보다 월등히 빠르고, 다운로드
를 하면서도 음성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화국에서 당신
과 인터넷 서비스 업체간에 ISDN 라인을 제공해야 하고, 당신의 컴퓨터
에 ISDN 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야만 사용가능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WWW을 이용하여 http://alumni.caltech.edu/~dank/isdn/ 을 참조하기
바란다. (WWW을 이용하시려면, netscape 이나 lynx같은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합니다.) 이 드라이버는
네트웍 연결용 ISDN카드를 다이얼인/아웃 장치로 사용 가능하게
합니다. isdn 표준 입력 터미널은 AT 호환 모뎀 에뮬레이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네트웍 장치는 자동 전화걸기, 채널 묶기, 콜백, 데몬
구동없이 접속자 인증 등을 제공합니다. 간편화된 T.70 프로토콜은
German BTX에 대해 표준 입력 터미널로 가장 적합하게 제공됩니다.
또한 D 채널상에서 ESSS1 프로토콜(유럽형 ISDN)과 1TR6(독일형)이
제공 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Documentation/isdn/README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ISDN을 모듈로 사용하시려면 (커널
구동시 당신이 원할때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합니다) M 으로 체크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으시기 바랍니다. 모듈은 isdn.o 라고
불립니다. 불확실하실땐 N를 체크하십시오.
Old CD-ROM drivers (not SCSI, not IDE) —>
[ ] Support non-SCSI/IDE/ATAPI CDROM drives
여러분이 갖고 있는 시디롬이 SCSI나 IDE/ATAPI가 아니라면 Y라고
하시고 ftp://metalab.unc.edu/pub/Linux/dosc/HOWTO(anonymous
유저)에서 CDROM-HOWTO를 읽어보세요. 여기서 하는 대답은 커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N이라고 하시면 어떤 시디롬을 갖고
있는지 묻지 않고 다음으로 건너 뛸 것입니다. 어떤 시디롬을 갖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면 Y라고 하시고 여러분이 갖고 있는 시디롬용
드라이버가 있나 없나 찾아보세요. Documentation/cdrom/에 각각의
드라이버용 설명 파일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어떤 시디롬을 갖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면 이 파일들을 꼭 읽어보세요. 여러분이 인터페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내부적인 몇몇 특징들을 바꿀수 있도록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은 drivers/cdrom/.h 파일을 사용합니다. 이 시디롬
드라이버들 역시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할 수 있습니다. 모듈로 컴파일 하시려면 Y대신 M이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이 시디롬
드라이버들을 쓰고 싶다면 뒤에 나올 “ISO 9660 시디롬 파일시스템
지원”에서 Y나 M이라고 하셔야 합니다.(시디롬 드라이버중 하나라도
고르셨다면 기본으로 설정 될겁니다.)
Character devices —>
[*] Virtual terminal
Y라고 하면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디바이스 여러개를 갖는 터미널
디바이스를 쓸 수 있습니다. “가상”이란 이름이 붙는 이유는 하나의
물리적인 터미널 위에서 여러개의 가상 터미널을 돌릴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가상 콘솔이라고도 하죠. 예를 들어 볼까요? 첫번째 가상
터미널에서는 시스템 메세지와 경고들을 보고 있을 수 있고 두번째
가상 터미널은 텍스트 모드로 사용하고 세번째는 X를 돌릴수가
있습니다. 다 동시에 실행됩니다. 꽤 쓸모있는 기능이죠? 가상 터미널
사이를 왔다 갔다 하려면 보통 Alt-조합을 씁니다. setterm
명령어(“man setterm”)를 쓰면 가상 터미널의 색깔같은 속성들을 바꿀
수가 있습니다. 최소한 하나의 가상 터미널이 있어야 키보드와
모니터를 쓸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오직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정하고
있는 사람이나 N이라고 해서 메모리를 줄이려고 할 겁니다. 그런
시스템에는 직렬포트나 네트워크로만 들어갈 수가 있습니다. 잘
모르겠으면 Y라고 하세요. 안 그러면 여러분의 멋진 새 리눅스를 쓸
수 없을겁니다.
[*] Support for console on virtual terminal
시스템 콘솔은 커널 메세지와 경고들을 받아 뿌려주고 싱글 유저
모드로 로긴할 수 있게 해주는 디바이스입니다. 여기서 Y라고 하시면
가상 터미널(물리적 터미널에 물려 쓰는 디바이스) 을 시스템
콘솔용으로 쓸 수가 있습니다. 이런 동작은 아주 일반적인 상황이므로
커널 메세지를 직렬포트로만 뿌릴게 아니라면 Y라고 하세요.(이런
경우는 다음에 나올 “직렬 포트에서의 시스템 콘솔 지원”에서 Y 라고
하셔야 합니다.) 이 옵션에 Y라고 하시면 기본으로 현재 보이는
가상 터미널(/dev/tty0)이 시스템 콘솔용으로 쓰입니다. 이걸 바꾸고
싶으면 커널 명령어 옵션에 “console=tty3″처럼 쓰면 됩니다. 이렇게
쓰면 3번째 가상 콘솔을 시스템 콘솔로 쓸겁니다. “man bootparam”나
부트 로더용 문서를 참고해서 여러분이 쓰는 부트 로더(lilo나
loadlin)가 부팅할 때 어떻게 커널에게 옵션을 주는지 알아보세요.
lilo같은 경우는 SCSI-HOWTO에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anonymous 유저)
잘 모르겠다고요? 그럼 Y라고 하세요.
<*> Standard/generic (dumb) serial support
여기서는 표준직렬포트지원드라이버를 포함시킬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Y”라는 답이 무난합니다. 여기서 “N”라고 답하는 분은 전용
이더넷WWW/FTP서버를 설정하고 있는 사람 ,직렬마우스 대신 다른 버스
마우스를 가진 사람 또는 자신의 장치에 표준직렬포트를 전혀 사용하고
싶지 않는 사람일 것입니다. (Cyclades 과 Stallion 멀티직렬포트
드라이버는 Cyclades 과 Stallion 멀티직렬포트의 작동을 위한
목적으로 표준직렬포트드라이버를 포함할 필요는 없음을 주의하십시요)
만일 이 드라이버를 모듈로 컴파일하시려면 “M”을 선택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모듈명은
serial.o가 됩니다. [경고!:만일 비표준직렬포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드라이버를 모듈로 컴파일하지 마십시요. 왜냐하면 이 드라이버를
unload할게되면 설정정보들을 잃어버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한계점은 나중에 보완(향상)될 것입니다. BTW1:
X윈도우시스템에서 인식되지 않는 mouseman 직렬마우스를 가지고 있다면
먼저 gpm부터 구동시키십시요. BTW2: 여러분의 장치의 직렬포트에
소위 Winmodem이라는 것을 연결하고자 한다면 이를 무시하십시요.왜냐면
Winmodem모뎀의 능력을 떨어지게 합니다.그리고 이런 모뎀들은
윈도우환경에서만 사용가능한 독점(전용)드라이버를 필요로 합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직렬마우스,모뎀 그리고 표준직렬포트에 연결되는
유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여기서 “Y”나 “M”을 선택할 것입니다.
[ ] Support for console on serial port
여기서 Y라고 하시면 직렬 포트를 시스템 콘솔로 쓸 수
있습니다.(시스템 콘솔은 커널 메세지와 경고들을 받아 뿌려주고
싱글 유저 모드로 로긴할 수 있게 해주는 디바이스입니다.) 어떤
터미널이나 프린터가 직렬 포트에 물려 있다면 아주 쓸만하겠죠?
설령 여기서 Y라고 하셔도 기본적으로 /dev/tty0가 시스템 콘솔로
잡혀 있습니다. 하지만 커널 명령어 라인에 “console=ttyS1” , 이런
식으로 써주면 ttyS1을 시스템 콘솔로 잡을겁니다. “man
bootparam”이나 부트 로더용 문서들을 보고 여러분의 부트 로더(lilo나
loadlin) 가 부팅할 때 커널에게 어떻게 옵션을 주는지 알아보세요.
lilo같은 경우는 SCSI-HOWTO에도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anonymous 유저))
만약에 VGA 카드가 없는데 여기서 Y라고 하면 커널이 자동으로 시스템
콘솔을 /dev/ttyS0로 잡을겁니다. 잘 모르겠으면 N이라고 하세요.
[ ] Extended dumb serial driver options
여러분이 만일 표준 “더미(dumb)”드라이버의 비표준 기능중 하나라도
사용을 하려고 한다면, 여기에 Y라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HUB6지원, 공유 시리얼 인터럽트,스페셜 멀티포트지원,그리고 COM
1/2/3/4 이상의 보드등을 지원합니다. 여기에 Y또는 N이라고
답하는 것은 커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N이라고 하게되면 단지 설정 스크립트는 시리얼 드라이버
옵션들에 대한 질문을 뛰어넘어 갈뿐입니다. 확실치 않으면 N이라고
하세요.
[ ] Non-standard serial port support
만약 표준 덤프 시리얼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는 비표준 시리얼 포트를
가진 보드를 사용하신다면 Y를 누르세요. 많은 전화접속이나 터미날을
위해 필요한 많은 시리얼 포트를 위해 사용되는 Cyclades나
Digiboards등의 개선된 시리얼 보드도 포함합니다. 알아두기: 이
설정이 커널에 바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N 하시면 비표준 시리얼
보드를 위한 다른 설정은 모두 지나치게 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N하시면 됩니다.
[*] Unix98 PTY support
가상 터미널 (PTY)는 소프트웨어 디바이스로서 마스터와 슬레이버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슬레이버는 물리적인 터미널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마스트 디바이스는 프로세스가 슬레이브로 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슬레이버로 데이버를 쓸 경우에 사용하며, 터미널을 에뮬레이션
합니다. 전형적인 마스터 사이드의 프로그램은 telnet 서버나
xterm입니다. 리눅스는 전통적으로 BSD- 비슷한 이름을 사용하여
마스터의 경우 /dev/ptyxx, 슬레이버의 경우 /dev/ttyxx를
사용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몇가지의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GNU
C라이버러리 glibc 2.1과 그 이후 버전에서는 Unix98 naming 표준을
지원합니다: 가상 터미널을 획득하기 위해서 프로세서는
/dev/ptmx파일을 오픈합니다; 그럼으로서 가상 터미널의 숫자가
프로세서에게 주어지고, 가상 터미널 슬레이버는 /dev/pts/를 억세스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전통적으로 /dev/ttyp2로 불리던 슬레이버는
/dev/pts/2로 불리게 될 것입니다. /dev/pts/의 파일들은 가상 파일
시스템에 의해서 동작중 자동적으로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Y옵션을
선택한다면 “Unix98 PTS를 위한 /dev/pts 파일 시스템”옵션도 또한
선택하여야 합니다. 만일 Y를 선책하려면 C 라이버러리 glibc
2.1(이는 libc-6.1에 해당하며, “ls -l /lib/libc.so.*”로 검사해
보십시오)이나 그 후 버전을 필요로 합니다. 가상 터미널에 대한 자료는
Documentation/Changes를 참조하십시오. N를 선택하여도 안전합니다.
[*] Mouse Support (not serial mice)
시리얼 마우스가 아니라 버스 마우스나 PS/2 마우스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위한 옵션입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COM 포트(9핀이나 25핀)에
꼽는 시리얼 MouseSystem이나 Microsoft 마우스를 사용합니다. 이런
경우라면 이 옵션은 N을 선택하십시오. 다른 문제가 발생하면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서 볼 수 있는
Busmous-HOWTO를 참조하고, 이 질문에는 Y를 선택하십시오.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문서를 참조하거나 트랙볼이 시리얼
마우스인지 아닌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 옵션에 Y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커널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즉 N을 선택하더라도 환경 설정 스크립트가
비시리얼 마우스에 관한 질문을 더 이상 하지 않게 하는 역할만 합니다.
불확실하다면 Y를 선택하십시오.
< > Joystick support
만일 여러분이 조이스틱을 가지고 있다면, 일반
조이Documentation/modules.txt스틱 지원을 위해 여기에 Y라고
답하실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특징적인
조이스틱 드라이버에 Y또는 M으로 대답할 필요가 있을것입니다. 이
옵션은 /dev/jsX 장치들로 조이스틱을 사용할수 있게해줄겁니다.
좀더 많은 정보와 당신에게 필요할지도 모르는 조이스틱 패키지의
위치등을 담은 Documentation/joystick.txt 파일을 꼭 읽어보세요.
이 드라이버는 모듈(실행중인 커널에 언제고 넣거나 뺄수있는
코드)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모듈은 joystick.o로 만들어지게됩니다.
모듈로 컴파일 하고 싶 으시면 여기에 M이라고 답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Video For Linux —>
< > Video For Linux
오디오/비디오 켑춰/오버레이 장치와 FM 라디오 카드를 지원합니다.
이들 장치의 정확한 기능은 장치마다 다릅니다.
ftp://ftp.uk.linux.org/pub/linux/video4linux 에서 유용한 도구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고자 하시는 분은
Documentation/video4linux/API.html 을 읽어 보세요. 이 드라이버는
모듈(videodev.o)로도 가능합니다. 이것은 커널이 실행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서 커널에 삽입되거나 제거될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모듈로 컴파일 하기를 원하면, M을 선택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을 읽어보십시오.
Filesystems —>
[ ] Quota support
Y를 고르시면 유저당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 할 수가 있습니다.(디스크
쿼타라고 하죠) 현재는 ext2 파일 시스템에서만 가능합니다. 쿼타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다른 소프트웨어도 있어야합니다. 자세한 것은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mini(anonymous 유저)에서
Quota mini-HOWTO를 읽어보세요. 이 기능은 멀티 유저 시스템에서나
유용하게 쓰이겠죠? 잘 모르겠으면 N을 고르세요.
<*> Kernel automounter support
automounter는 원격의 파일시스템들을 여러분의 요구에따라 자동으로
마운트해주는 툴입니다. 이것은 이미 마운트된 경우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부분적인 커널기반(kernel-based) 툴이며, BSD의
automounter(amd)와는 같지 않은 전적으로 사용자차원의
데몬(daemon)입니다. 여러분이 automounter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ftp://ftp.kernel.org/pub/linux/daemons/autofs에있는 사용자차원의
툴들이 필요하며, 아래쪽의 “NFS filesystem support” 항목에 Y라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것을 모듈(여러분이 원할때에만
동작중인 커널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있는 코드)로서 컴파일하시길
원하신다면 M이라고 선택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 파일을
읽어보십시요. 이 모듈은 autofs.o로 불리워질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거대한 분산 네트워크의 한 부분이 아니라면, 아마도
automounter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곳에 N라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 > ADFS filesystem support (read only) (EXPERIMENTAL)
Advanced Disk File System은 Acorn 시스템의 플로피와 하드 디스크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현재 개발 중이며, 하드 디스크의 읽기
전용 드라이버입니다. ADFS 파티션은 여러분의 하드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dev/[sh]d?1) 이어야 합니다. 만약 확실치 않으면 N를
선택하십시오.
< > Amiga FFS filesystem support
The Fast File System (FFS)은 AmigaOS Version 1.3 (34.20)이후로
Amiga(tm) systems에서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파일시스템(filesystem)입니다. 여러분이 하드드라이브에 있는 Amiga
FFS 파티션에서 파일을 읽거나 쓰고 싶다면 Y라고 하세요. 하지만
Amiga에서 사용하는 floppy controller와 일반적인 PC,
워크스테이션에서 사용하는 floppy controller는 서로 충돌하기 때문에
이 드라이버로 Amiga 프로피를 읽을 수 없습니다.
Documentation/filesystems/ affs.txt 와 fs/affs/Changes를
읽어보세요. 여러분은 이 드라이버로 Bernd Schmidt’s Un*X Amiga
Emulator (http://www. freiburg.linux.de/~uae/; WWW를 이용하려면
lynx와 netscape등의 프로그램이 깔린,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에서 사용하는 디스크에 있는 파일(disk
files)을 마운트(mount)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고 싶으시면
위에서 “Loop device support”을 Y또는 M으로 하세요 이
파일시스템은 모듈(필요에 따라 실행중인 커널에 추가, 제거 할 수
있는 코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으 이름은 affs.o가 될겁니다.
모듈로 컴파일 하길 원하시면 여기서 M으로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잘 모르시겠으면 N를.
< > Apple Macintosh filesystem support (experimental)
만약 당신이 Y라고 선택하면 당신은 매킨토시형으로 포맷된 플로피
디스크와 하드 드라이브 구분영역(partition)들을 완전한 읽기-쓰기
접근방법으로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마운트 옵션에 대해
알려면 fs/hfs/HFS.txt를 읽어 주십시오. 이 파일시스템 지원은
모듈(당신이 원할 때 실행 중인 커널에 끼워넣거나 지울 수 있는
코드)로도 가능합니다. 이 모듈은 hfs.o라고 불립니다. 만약 당신이
모듈로 이것을 컴파일하길 원한다면 여기서 M을 선택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으십시오.
<M> DOS FAT fs support
FAT 기반의 파일시스템들을 쓰려면 Y나 M이라고 해서 이 FAT 지원을
포함시켜야 합니다.(FAT 기반의 파일시스템 : MS-DOS, VFAT(윈도우
95), UMSDOS(보통의 도스파티션위에서 리눅스를 돌리는데 쓰임)).
이렇게 하면 FAT 기반의 파일시스템을 가진 파티션이나 디스켓을 마운트
할 수 있고, MSDOS 파일들을 다른 유닉스 파일들처럼 조작할 수가
있습니다. 이 FAT 지원 자체는 파일시스템이 아닙니다. 위에서 말한
다른 파일시스템들의 바탕만을 제공할 뿐입니다. 따라서 FAT 지원의
포함이 쓸모 있으려면 “msdos 파일시스템 지원”이나 “vfat 파일시스템
지원”중 최소한 한 가지는 Y나 M을 골라야 합니다. 리눅스에서 MSDOS
플로피나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읽고 쓸 수 있는 다른 방법은
mtools(“man mtools”)류의 프로그램을 쓰면 됩니다.(하지만 FAT 지원
같지는 않습니다.) 이 방법은 FAT 파일시스템 지원이 필요 없습니다.
이제는 압축된 FAT 파일시스템을 읽고 쓸 수가 있게 됐습니다. 자세한
것은 Documentation/filesystems/fat_cvf.txt를 읽어보세요. FAT
지원은 커널 크기를 24kb정도 크게 합니다. 잘 모르겠으면 Y라고
하세요. 이 기능을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컴파일 하려면 M이라고 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모듈 이름은 fat.o가 될
겁니다. 만약 FAT 지원을 모듈로 컴파일 하면 FAT 기반의
파일시스템들은 커널에 직접 붙여 컴파일 할 수 없습니다. 그것들도
역시 모듈로 컴파일 해야 합니다. 루트 파티션(“/” 디렉토리를 갖고
있는 파티션)은 모듈로 컴파일 할 수 없기 때문에 루트 파티션을
UMSDOS로 하실 생각이라면 M이라고 하지 마세요.
< > MSDOS fs support
이 옵션은 여러분의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에 있는 MSDOS 파티션을
마운트 할 수 있게 해 줍니다.(하드디스크는 압축되어 있으면 안
됩니다. 압축된 MSDOS 파티션에 쓸 수 있게 하시려면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anonymous 유저)에서
DOSEMU-HOWTO에 있는 DOSEMU를 쓰시거나
ftp://metalab.unc.eud/pub/Linux/system/filesystems/dosfs에 있는
dmsfs를 써보세요. 압축 안 된 MSDOS 파티션에서 DOSEMU를 쓰시려면
Y라고 하세요.) 이 옵션은 파일 접근 방법에 일관성을 줍니다. 즉,
MSDOS 파일도 유닉스 파일처럼 동작할 수가 있다는 뜻입니다. DOS
파티션을 다시 나누지 않고 그 위에서 리눅스가 돌게 해 주는
umsdos(DOS 위에서의 유닉스식 파일시스템)를 쓰시려고 한다면 Y나
M이라고 하세요. 만약에 MSDOS쪽 파티션에 윈도우 95나 윈도우 NT가
깔려 있다면 VFAT을 쓰셔야 합니다.(“vfat 파일시스템 지원에서 Y라고
하세요.”) 안 그러면 윈도우 95나 윈도우 NT가 만들어낸 긴 이름의
파일들을 볼 수가 없습니다. 이 옵션은 커널 크기를 7kb정도 크게
합니다. 잘 모르겠으면 Y라고 하세요. 이 옵션은 “fat 파일시스템
지원”도 Y라고 해야 동작합니다.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컴파일 하시려면 M이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모듈 이름은 msdos.o랍니다.
<*> ISO 9660 CDROM filesystem support
ISO 9660은 시디롬에서 쓰이는 파일시스템의 표준입니다. 예전엔 “High
Sierra Filesystem”으로 알려져 다른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hsfs”라고
불렀습니다. 이 드라이버는 유닉스식 긴 파일이름과 심볼릭 링크를
가능케 하는 소위 락-릿지 확장도 지원합니다. 여러분의 시디롬
드라이브를 단지 오디오 시디를 들으며 불이 깜빡이는것만 보는데
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Y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filesystems/isofs.txt랑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anonymous 유저)에서
CDROM-HOWTO를 읽어보세요. 이 드라이버는 커널 크기를 27kb정도 크게
할 겁니다. 싫으면 N라고 하세요. 이 드라이버를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컴파일하시려면
M이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모듈이름은
isofs.o랍니다.
< > NTFS filesystem support (read only)
NTFS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NT용 파일시스템입니다. NTFS 파티션에
있는 파일을 읽고 싶다면 Y라고 하세요. NTFS 드라이버는 VFAT
드라이버의 마운트 옵션 대부분을 지원합니다. 자세한건
Documentation/filesystems/ntfs.txt를 읽어보세요. Y라고 하시면
NTFS에 읽기 전용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듈(실행중인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할 수도 있습니다.
모듈이름은 ntfs.o가 될겁니다. 모듈로 컴파일하고 싶으면 M이라고
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 > OS/2 HPFS filesystem support (read only)
OS/2는 IBM의 운영 체제 입니다. Warp 라고도 합니다. HPFS 는 OS/2
하드 디스크 파티션에서 쓰는 파일시스템입니다. 만약 당신의
하드디스크의 OS/2 HPFS 파티션을 읽을수 있기를 바라시면 Y를
하십시요. 하지만 OS/2 플로피 디스켓은 일반적인 MSDOS 형태이므로,
플로피 디스켓을 읽기 위해 이 옵션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Documentation/filesystems/hpfs.txt 를 읽어보십 시오. 이
파일시스템은 또한 모듈(커널에 언제든지 너었다 지웠다 할 수 있는
코드) 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모듈은 hpfs.o 입니다. 만약 당신 이
이것을 모듈로 컴파일 하시길 원하시면 여기서 M을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 를 읽어보십시요. 잘 모르시겠스면 N을
누르십시요.
[*] /proc filesystem support
이 가상 파일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가상”이란 낱말은 여러분의 하드디스크의 어떤 공간도 차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이 파일시스템속의 어떤 파일에
접근하려고 하면 커널이 그 순간에 만들어 냅니다. 또, 옛날 버젼의
“less”로는 이 파일시스템 속의 파일들을 읽을 수가 없고 “more”나
“cat”을 쓰셔야 합니다. 이건 아주 끝내주는 파일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cat /proc/interrupts”라고 하면 그 순간에 쓰이고
있는 여러 다른 IRQ들을 보여줄 겁니다.(CPU의 주의를 끌려고 하는
여러 디바이스들이 물려있고 인터럽트 요청(IRQ) 라인수가 적은
상황은 종종 문제가 되곤 합니다. 서로 다른 두 디바이스가 설정이
잘못 되어 같은 IRQ를 쓸 수 있으니까요.) /proc 파일시스템에
대한 문서들입니다. Documentation/proc.txt,
http://www.redhat.com:8080/HyperNews/get/khg.html (웹상의 커널
해커스 가이드, 웹을 사용하려면 lynx나 netscape가 있고 인터넷에
물려있는 컴퓨터를 쓸 수가 있어야 합니다.), proc(8) 맨페이지(“man
8 proc”). 이 옵션은 커널 크기를 18kb정도 크게 합니다. 몇몇
프로그램이 이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분 모두다 Y라고
하셔야 할겁니다.
[*] /dev/pts filesystem for Unix98 PTYs
만일 여러분이 “Unix98 PTY지원”옵션에서 Y를 선택하셨다면 이
옵션에서도 Y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mount -t
devpts”로 /dev/pts에 마운트 될 수 있는 가상 파일시스템을 가지게
됩니다. 이것은 가상 터미널 마스트 멀티플렉서인 /dev/ptmx,와 함께
Open Group의 Unix98 표준에 설명된 가상 터미널을 지원합니다: 가상
터머널을 할당받기 위해서 프로세서는 /dev/ptmx파일을 오픈합니다;
프로세서에게 가상 터미널의 숫자가 이용가능하게 되며, /dev/pts/
디렉토리에 있는 가상 터미널 슬레이브가 프로세서에 이용 가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dev/ttyp2 였던 가상 터미널은 이제
/dev/pts/2가 됩니다. GNU C 라이버러리 glibc 2.1은 이 모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합니다; 여러분은 또한 Unix98 API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 Second extended fs support
ext2fs(second extended fs)는 하드디스크를 위한 리눅스
파일시스템(저장 장치에서 파일들을 관리하는 방법)의 실질적인
표준입니다. 리눅스를 도스 파티션안에서 umsdos 파일시스템을 써서
돌리려고 하지 않는다면 Y를 고르세요. umsdos 파일시스템의 장점은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다시 안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백업받고 다시 깔고
하는 등의 수고를 덜어 준다는 것이고, 단점은 리눅스가 도스용
바이러스에 민감해지고 ext2fs보다 조금 느려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umsdos를 쓴다고 해도 ext2fs를 추가하는게 좋을겁니다. 그럼 더 많은
플로피를 읽을 수가 있고 나중에 “진짜” 리눅스 파티션으로 쉽게 옮겨갈
수 있게 해줍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ext2fs를 쓰지 않는 다른 경우는
모든 파일들을 네트워크 다른쪽에 있는 컴퓨터에서 NFS를 써 마운트
할 때입니다.(이렇게 하려면 나중에 나올 “NFS 파일시스템 지원”에서
Y를 고르셔야 할 겁니다.) 여기서 Y를 고르면 커널크기가 41kb정도
커집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mini(anonymous 유저)에
있는 Ext2fs-Undeletion mini-HOWTO에는 ext2 파일시스템에서 지원진
파일을 어떻게 살리는지에 대해서 나와 있습니다. ext2 파일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바꾸려면 tune2fs(“man tune2fs”)를 쓸 수 있습니다. ext2
파일시스템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의 특징들을 바꾸려면 chattr(“man
chattr”)를 쓰시면 됩니다. ext2tool이란 프로그램을 쓰면 도스에서
ext2fs 파티션을 읽을 수 있습니다.
< > System V and Coherent filesystem support
SCO, Xenix, Coherent들은 인텔머신을 위한 상업용 유닉스
파일시스템입니다. 이 파일시스템용 플로피나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읽고 쓰시려면 Y라고 하세요. 이런 파일시스템용 플로피나
하드디스크가 있다는 것은 이 시스템용 실행파일이 있다는 뜻이고 그
실행파일을 돌리려면 iBCS2가 인스톨 되어 있어야 합니다.(iBCS2 :
Intel Binary Compatibility Standard는 SCO, Xenix, Wyse, UnixWare,
Dell Unix, System V용 프로그램을 리눅스에서 돌릴수 있게 해주는
커널 모듈이고 오직 그런 시스템에서만 도는 상업용 소프트웨어를
돌려야 할 때 쓰입니다. 이 iBCS2는
ftp://tsx-11.mit.edu/pub/linux/BETA(anonymous 유저)에서 얻으실
수 있습니다. 만약에 NFS를 써서 네트워크로만 다른 유닉스 시스템에
접근하려고 한다면 이 옵션은 필요치 않습니다.(이런 상황이라면 “NFS
파일시스템 지원”은 꼭 선택하셔야 합니다.) 보통, 유닉스들간에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옮길때는 tar(“man tar”나 더 좋은 “info
tar”)프로그램을 쓰기 때문에 이 옵션을 플로피 때문에 쓰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 옵션은 “System V IPC”와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Documentation/filesystems/sysv-fs.txt에서 System V 파일시스템에
대해 읽어보세요. 여기서 Y라고 하시면 커널 크기가 34kb정도
커집니다.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컴파일 하시려면 M이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모듈 이름은 sysv.o가 될 겁니다. 무슨 얘긴지 잘
모르겠으면 N이라고 해도 괜찮습니다.
< > UFS filesystem support
BSD와 유닉스에서 파생된 버전들(예를들면 SunOS, FreeBSD, NetBSD,
OpenBSD 그리고 NeXTstep)은 UFS라고 불리는 파일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몇몇의 System V 계열의 유닉스들도 하드디스크 파티션이나 디스켓에
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거나,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곳을
Y로 선택한다면 이런 파티션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이런 파티션들에 쓰기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UFS 파일시스템 쓰기
지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보다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Documentation/filesystems/ufs.txt 파일을 읽어보십시요 만약
여러분이 오직 네트웍을 이용한 NFS를 통하여 다른
유닉스시스템으로부터 파일들을 마운트하려 한다면, 이곳을 선택하실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여러분은 분명하게 NFS 파일시스템 지원을
선택하셔야합니다). 이 옵션은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를 위하여
사용될 필요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tar(“man tar” 또는 되도록이면
“info tar”) 프로그램이라는 유닉스들 사이에서(또는 다른 OS들과)
파일과 디렉토리의 전송에 훌륭한 이동 방법(portable way)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NeXTstep의 파일들에 접근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아마도 NeXT의 캐릭터 셋을 Latin1 캐릭터 셋으로 변환하기를
원할지도 모르지만 recode(“info recode”) 프로그램을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여러분이 UFS 파일시스템 지원을 모듈(모듈은
여러분이 원할때 동작중인 커널에 삽입되어지거나 제거될 수 있는
코드입니다.)로써 컴파일하기를 원한다면, M을 선택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을 읽어보십시요. 이 모듈은 ufs.o로
불리워질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전에 이런것들을 들어보지
못하셨다면 안전하게 N라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Network File Systems —>
<*> Coda filesystem support (advanced network fs)
Coda는 자신의 HDD에 있는 것처럼 일반적인 Unix 명령들로 remote
server의 filesystem들을 접근하고, mount하는 것이 가능한 NFS와
유사한, 진보된 network filesystem이다. Coda는 NFT보다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분리된 작업(예를 들어 laptops들), read/write
server 의 응답, 인증과 암호화에 대한 보안 모델, 지속적인 client
cache, write back 캐싱에 대한 지원등이 있다. 여기서 Y를
선택하면, 너의 Linux box는 Coda *client*로 작동을 하게 될것이다.
또한 client와 server 둘다를 위해 user level code가 필요 할 것이다.
Server들은 현재 user level이며, 예를 들어 kernel의 지원을 필요하지
않다. Documentation/filesystems/coda.txt와 Coda homepage
http://www.coda.cs.cmu.edu를
읽어 보기 바란다. coda client
support를 module(너가 원할때 마다 작동중인 커널으로 부터
포함시키거나 제거할수 있는 코드)로서 컴파일하기를 원한다면, M을
선택 하며,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 보기를 권장한다.
module로 컴파일을 하면, coda.o로 생성이 된다.
<*> NFS filesystem support
만약에 SLIP이나 PLIP, PPP, 이더넷등으로 다른 유닉스 컴퓨터에
물려있고 그 컴퓨터를 마운트해서 그 쪽 파일을 마운트하고 싶다면
Y라고 하세요. 그 컴퓨터는 NFS서버가 되겠고 이 때 쓰는 프로토콜이
NFS(Network File Sharing) 프로토콜입니다. “파일을 마운트한다”는건
클라이언트가 보통 유닉스 명령어로 서버쪽 파일들을 자기 하드에
있는것처럼 접근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게 가능하려면 서버쪽에
nfsd하고 mountd가 떠 있어야 됩니다.(서버는 NFS 파일시스템 지원이
필요 없습니다.) NFS 관련 문서입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LDP(anonymous 유저),
맨페이지(“man nfs”), NFS-HOWTO. NFS보다 더 좋지만 별로 안 쓰이는
Coda 파일시스템이란것도 있습니다. “Coda 파일시스템 지원”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여기서 Y라고 하려면 “TCP/IP 네트워킹”에도 Y라고
했어야 합니다. 이 옵션은 커널크기가 27kb정도 늘어납니다. 이
파일시스템은 모듈(실행중인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할 수 있고 모듈이름은 nfs.o가 될겁니다. 모듈로 하려면
M이라고 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만약에
디스크 없이 부팅시 NFS를 써서 루트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려면 앞에
나온 “IP: 커널 레벨 자동설정”과 뒤에 나올 “NFS를 통한 루트
파일시스템” 둘 다 Y라고 하고 여기서도 Y라고 하세요. 이런 경우라면
모듈로 컴파일 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에서 디스크 없이 부팅할 수
있게 해주는 netboot와 etherboot는
ftp://metalab.unc.edu/pub/Linux/system/boot/ethernet/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무슨 소린지 모르고 읽었다면 N이라고
하세요. 😉
[ ] Root file system on NFS
여러분의 리눅스에 하드 디스크가 없어서 루트 파일시스템(“/”
디렉토리를 갖고 있는 파일시스템) 전부를 NFS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마운트를 하게 하려면 Y라고 하세요. 자세한건
Documentation/nfsroot.txt를 읽어보세요. 여기서 Y라고 했다면 “IP:
커널 레벨에서의 자동설정”에 Y라고 해서 부팅시에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알아내게 해야 할 겁니다. 보통은 N이라고 하면 됩니다.
< > NFS server support
당신의 리눅스 박스를 NFS 서버처럼 동작하게 만들어 로컬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가 NFS를 통해 당신 컴퓨터의 특정한 디렉토리에 접근해
자신의 컴퓨터처럼 쓰게 하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유저
영역에서 도는 nfsd란 프로그램을 쓰시는 방법이 있고(이 방법을 쓰려면
여기서는 N이라고 하세요) 이 옵션을 Y라고 해서 새롭고 실험적인 커널
기반의 NFS 서버기능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커널 기반 방법의 장점은
더 빠르다는 것이죠. 하지만 아직 완전히 안정적이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Documentation/Changes의 NFS 섹션에 보시면 각각 어디에서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sc/HOWTO(anonymous 유저)에서
NFS-HOWTO를 읽어보세요. NFS 서버 기능은 모듈(돌고 있는 커널에
언제든지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코드)로 할수도 있고 모듈 이름은
nfsd.o입니다. 모듈로 컴파일하려면 M이라고 하시고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세요. 잘 모르겠으면 N이라고
하세요.
[ ] Emulate SUN NFS server (NEW)
만약 여러분이 서버가 로컬 파일시스템 상의 마운트 위치인 디렉토리를
클라이언트들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게하고 싶다면 ( 이것이 nfsd가
썬 시스템에서 작용하는 방법입니다.) , 여기서 yes를 하세요. 만약
자신이 없다면 N를 하세요.
< > SMB filesystem support (to mount WfW shares etc.)
SMB (Server Message Block)는 Windows for Workgroups (WfW), Windows
95/98, Windows NT 그리고 OS/2 LAN Manager 가 로컬 넷트워크에서
파일과 프린트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Y라고
하는 거슨 여러분들이 이들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허용하는 것을
말하며 (종종 문맥적 의미로 “공유”라고 불린다), 마치 또다른 Unix
directory 처럼 접근할 수 있게 해 준다. 현재 이것은 Windows 가
기본적인 전송 프로토콜로서 NetBEUI가 아닌 TCP/IP를 사용할때에만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보다 자세한 것은,
Documentation/filefilesystems/smbfs.txt 와 SBM-HOWTO 를 읽기
바란다. 이것은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 에서
얻을 수 있다. 주의: 여러분들의 컴퓨터가 단지 SMB *server*로서만
작동하길 원한다면 그리고 파이과 피린팅 서비스를 Windows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길 원한다면 (이것은 TCP/IP stack 이
필요하다) 여러분들은 이것에 Y라고 답변할 필요가 없다; 여러분들은
그런 목적으로는 samba 프로그램을
(ftp://metalab.unc.edu/pub/Linux/system/network/samba 에서
anonymous로서 얻을수 있다) 이용할 수 있다. Linux, Windows, Macs
간에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http://www.eats.com/linux_mac_win.html 에서 얻을 수 있다. (WWW
를 보기 위해서 여러분들은 internet으로 접속한후 lynx나 netscape
같은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한다.) 만약 여러분들이 SMB 지원을
module로서 컴파일하길 원한다면 (여러분들이 원할때마다 커널에서
코드를 삽입했다가 제거 할 수 있도록 하길 원한다면) 여기에 M 이라고
답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 를 읽어 보기 바란다. 모듈의
이름은 smbfs.o 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N 이라고 답할 것이다.
< > NCP filesystem support (to mount NetWare volumes)
NCP(NetWare Core Protocol)은 IPX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며, 파일
서버에게 Novell NetWare 클라이언트라고 알려주기 위해
사용합니다.말하자면 NFS가 TCP/IP 프로토콜을 위한 파일시스템인것처럼
이것은 IPX를 위한 것입니다. NetWare 파일 서버를 마운트 하고
일반적인 Unix 디렉토리인것처럼 접근하고 싶다면 여기서 Y라고 하세요.
상세한 것은 커널 소스디렉토리의
Documentation/filesystems/ncpfs.txt와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 에 있는 IPX-HOWTO 를
참조하세요. 당신의 리눅스 박스가 Novell NetWare 클라이언트에게
파일 서버처럼 동작하기를 바란다면 여기서 Y라고 할 필요가 없습니다.(
NetWare 파일 서버로 사용할때는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리눅스나
윈도우즈, 맥에 연결하는 알반적인 정보는 WWW(world wide web) 의
http://www.eats.com/linux_mac_win.html 에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
접근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linx나 netscape 와 같은
웹브라우저가 있어야 하겠지요) 이것을 모듈( 커널이 동작중에
커널의 일부로 넣을수도 있고 빼낼수도 있는 코드)로 컴파일 하고
싶으시면 여기서 M 이라고 하고 Documentation/modules.txt 를
읽어보세요. 모듈의 이름은 ncpfs.o입니다. Novell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N라고 하세요.
Partition Types —>
[ ] BSD disklabel (BSD partition tables) support
FreeBSD는 자신의 하드 디스크 파티션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의 디스크에 프라이머리 파티션에 단지 하나의 엔트리 만을
필요로 하며 첫번째 섹트에 BSD 디스크레이블 포맷의 새로운 파티션
테이블을 기입하는, 마치 DOS 확장 파티션과 비슷한 방법으로 관리
합니다. Y를 선택할 경우 여러분은 BSD 디스크레이블을 읽을 수 있으며
“UFS 파일 시스템 지원”옵션에서 Y를 선택하셨다면 리눅스에서 FreeBSD
파티션을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신다면
N를 선택하십시오.
[ ] Macintosh partition map support
여러분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매킨토시에서 사용하는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읽어 들이고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Y를 선택하십시오.
Native Language Support —>
<*> Codepage 437 (United States, Canada) (NEW)
마이크로소프트의 FAT 파일시스템 계열은 모국어 문자 ~YV을 통해
파일이름을 처리합니다. 이러한 문자 ~YV은 소위 DOS codepages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이 DOS/Windows 파티션에서 파일이름을
올바로 읽고 쓰려면 적당한 codepage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파일이름에만 적용될 뿐 파일이 담고있는 내용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여러개의 codepage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미국과 캐나다의 일부분에서 사용하는 Dos pagecode를
포함시키고자 한다면 Y라고 하세요. 추천합니다.
Console drivers —>
[*] VGA text console
여기에 Y라고 답하시면 여러분은 일반 VGA표준을 따르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 모드에서 리눅스를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실제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원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모드에서 SVGA
비디오 카드의 최고성능을 이용하기 위해 SVGATextMod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utils/console 에서
FTP로(사용자이름:anonymous) 다운로드 받으세요. Y라고 답하세요.
[ ] Video mode selection support
이 기능은 커널이 시작될 때 텍스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줍니다. 만약 당신이, 기존의 SVGATextMode같은 전통적인 리눅스
유틸리티가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당신의 비디오 카드의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고해상도 텍스트 모드를 이용해보고자 한다면 여기서 Y로
답하시고, 부트로더(lilo or loadin)에 “VGA=”옵션을 사용하여 해상도를
설정하거나 “VGA=ASK”옵션을 사용하여 커널이 기동할 때 비디오 모드
메뉴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커널에 옵션을 주는가에
대해, “man bootparam”라고 쳐보거나 아니면 당신의 boot loader에
대한 문서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lilo의 진행과정은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와 같은 FTP(user:
anonymous)에서 얻을 수 있는 SCSI-HOWTO에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비디오 모드 선택 지원에 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svga.txt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잘 모르시겠다면 N로 답해주세요
< > MDA text console (dual-headed) (EXPERIMENTAL)
두번째의 화면으로 예전의 MDA나 모노크롬 허큘러스 그래픽 어댑터를
사용한다면 이곳에서 Y를 선택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은 Linux
system에서 두개의 화면을 가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MDA 카드를
주 카드로 사용할 경우 이곳에서 Y를 선택하지 마십시오. 일반적인
VGA 드라이버가 이것을 조절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드라이버는
모듈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즉 이 코드는 커널이 돌아가는 중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의 이름은 mdacon.o입니다.
이것을 모듈로 컴파일 할려면 이곳에서 M을 선택하시고 modules.txt를
읽어보십시오. 확실하지 않다면, N을 선택하십시오.
[ ] Support for frame buffer devices (EXPERIMENTAL)
이 옵션으로 인해 설정되는 프레임 버퍼 장치는 그래픽 하드웨어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즉,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일관된 접근방식) 을 지원합니다. 이 프레임 버퍼는 일부 비디오
하드웨어의 프레임 버퍼를 나타내고, 이것은 응용프로그램이 미리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그 소프트웨어는 낮은 하드웨어 레벨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사실상 필요가 없게 됩니다. 프레임 버퍼는 리눅스에서 지원되는
상이한(여러가지의) 하드웨어 종류에 대해 동일하게 접근하도록 해
주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 작성시 매우 쉽고, 이식성이 좋도록 해
줍니다. 이러한 점에서 배타적으로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는 X 서버가
존재합니다. (무슨 말이야?) 몇몇 비 X86 계열의 시스템에서 그래픽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방법이 프레임 버퍼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dev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는 (예를
들면 /dev/fb* 장치) 특수 장치 노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버퍼의 모든 기능을 완전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fbset 이라고
불리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http://www.tahallah.demon.co.uk/programming/prog.html 에 있는
Framebuffer-HOWTO 문서나 Documentation/fb/framebuffer.txt 화일을
읽기를 권합니다. 만일 비 x86 계열의 구조를 위한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 그래픽 보드의 그래픽 장치를 위해서는 Y를 선택하십시요.
만일 x86 계열의 구조하에서 커널 컴파일을 할 지라도 Y를
선택해서 프레임 버퍼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한가지 명심할 사실은 프레임 버퍼 장치에 대해 조심하지
않는 직접적인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그래픽 응용 프로그램은 예기치
않은 결과(모니터를 태운다?, 그래픽 카드가 맛이 간다?)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확실하지 않다면 N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Sound —>
<M> Sound card support
컴퓨터에 사운드 카드가 있으면(즉 단순한 비프음 이외의 소리를 낼
수 있다면) Y를 선택하세요. 사운드 카드에 대한 모든 정보와 환경(I/O
포트, 인터럽트, DMA 채널)을 물어보므로 꼭 알고 있어야 합니다.
ftp://metalab.unc.edu/pub/Linux/docs/HOWTO에 FTP(anonymous)로
접속하여 Sound-HOWTO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모듈러 사운드 시스템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는 Documentation/sound/Introduction이라는 파일에
들어 있습니다. 또한 Documentation/sound/README.OSS라는 파일에는
약간 오래되기는 했지만 유용한 정보들이 들어 있습니다. PnP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ISA PnP 툴을 사용하여 부팅시 그것을
설정하고
싶으시다면(http://www.roestock.demon.co.uk/isapnptools/(웹에
접속하려면 lynx나 넷스케이프같은 프로그램과 함께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해야 함)), 사운드 카드 지원 기능을 모듈(필요할 때마다
실행 중인 커널에 삽입 혹은 제거할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컴파일해야
하며 PnP 환경 설정이 끝난 다음 그 모듈을 로드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이 질문에 M이라고 답하고,
Documentation/sound/README.modules와 Documentation/modules.txt를
읽어보십시오. 이 모듈은 sound.o가 호출합니다. PC 스피커를
프로그래밍하면 사운드 카드가 없더라도 단순한 비프음 이상의 소리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기능을 하는 커널 패치 및 지원
유틸리티들은 pcsp 패키지에 들어 있으며, 이것은
http://www.imladris.demon.co.uk/pcsp/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Kernel hacking —>
[*] Magic SysR key
여기서 Y를 선택한다면, 커널 디버깅같은 작업중에 시스템이 깨졌다고
해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버퍼 캐쉬의
내용을 디스크에 쓴다거나, 시스템을 즉시 또는 몇몇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재부팅을 할 수 있습니다). SysR(Alt+PrintScreen)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양한 키들을 눌러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키들의 정보는 Documentation/sysr.txt 문서내에
있습니다. 이 옵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시면 Y를 선택하지
마십시요.
Load an Alternate Configuration File
아래 부분에서 저장시켜놓은 환경을 현재 옵션에 적용시킵니다.
Save Configuration to an Alternate File
현재 설정된 커널환경을 파일로 저장시켜 놓습니다.
이로써 커널의 전반적인 옵션의 설명이 끝났습니다.
컴파일 옵션의 설정 내용은 다음 파일에 저장이 되어진다. 재 컴파일시 참고를
하고 싶으신 분들은 백업을 받아두면 된다.
/usr/src/linux/arch/i386/config.in
———————————————————————–
## 커널 컴파일
————————————————————————
이제 커널을 컴파일 하면 되는데 그 전에 반드시 커널 소스를 청소해야 합니다.
이제 커널을 컴파일 하면 되는데 그 전에 반드시 커널 소스를 청소해야 합니다.
make dep 는 새 커널을 만들기 전에 컴파일을 위한 의존성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root@zzang911 linux]# make dep
make clean 은 이전에 수행했던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된 오브젝트 파일(*.o)
커널, 임시파일 (*.tmp*), 설정값 (configure) 등을 삭제합니다.
[root@zzang911 linux]# make clean
이제 컴파일을 하면 됩니다. make zImage 로 컴파일 하시면 되지만, 이럴 경우
커널의 크기가 1/2 M 를 넘어서면 ‘SyStem is too big’ 이라는 메세지와 함께
컴파일이 중단 됩니다. 그래서 처음 부터 make bzImage 로 컴파일을 하도록 합니다.
bzImage 는 대략 2 M 까지 허용 가능합니다.
[root@zzang911 linux]# make bzImage
컴파일이 무사히 종료 되면 /usr/src/linux-2.2.17/arch/i386/boot/ 디렉토리 안에
bzImage 라는 커널파일이 생기게 됩니다.
————————————————————————–
## 모듈 컴파일
————————————————————————–
설정 부분에서 모듈로 이용하겠다고 설정한 모듈들을 만듭니다.
[root@zzang911 linux]# make modules
[root@zzang911 linux]# make modules
컴파일된 모듈을 /lib/modules 아래에 설치 합니다.
[root@zzang911 linux]# make modules_install
depmod 는 모듈 사이의 의존성을 검사하여 /lib/modules 디렉토리 아래 modules.dep
파일을 만듭니다.
[root@zzang911 linux]# depmod -a 2.2.17
—————————————————————————-
## 새 커널 설치
—————————————————————————-
새로 만들어진 커널 이미지를 /boot 디렉토리로 옮기고 lilo 명령을 수행하여
부트로더에 새로운 커널을 인식시킵니다.
[root@zzang911 linux]# cd arch/i386/boot
[root@zzang911 boot]# cp bzImage /boot/bzImage-2.2.17
/usr/src/linux/System.mep 파일을 /boot 로 옮겨서 기존의 System 파일과
교체시키도록 합니다. 이 파일이 곁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여 링크를 시키도록
합니다.
[root@zzang911 boot]# cd /usr/src/linux
[root@zzang911 linux]# cp System.map /boot/System.map-2.2.17
[root@zzang911 linux]# cd /boot
[root@zzang911 /boot]# ln -s System.map-2.2.17 System.map
lilo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etc/lilo.conf 에서 추가된 정보를 수정합니다.
[root@zzang911 /boot]# vi /etc/lilo.con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oot=/dev/hda
map=/boot/map
install=/boot/boot.b
prompt
timeout=50
default=linux
image=/boot/vmlinuz-2.2.16-3.azsmp
label=linux
read-only
root=/dev/hda1
image=/boot/bzImage-2.2.17 # 추가된 부분
label=linux-2.2.17 #
root=/dev/hda1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ilo 를 실행합니다.
[root@zzang911 /boot]# lilo
Added linux *
Added linux-2.2.17
위와같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 재 부팅을 합니다.
이것으로 커널 컴파일이 끝나게 됩니다.
점점 그 기능이 막강해지는 리눅스의 세상에 한번 빠져 보세요..
그럼…무천 올림..
아..참…곧..2.4버젼의 커널이 나옵답니다..^^